농업경영체 등록 조건 및 절차 총정리
농업경영체 등록은 농업인과 농업법인이 정부의 각종 지원을 받기 위해 필수적으로 거쳐야 하는 절차입니다.
등록을 통해 정부 보조금, 정책자금, 직불금 등을 받을 수 있으며, 세제 혜택도 제공됩니다.
이번 글에서는 농업경영체 등록 조건과 절차, 필요한 서류, 혜택 등을 상세히 안내해 드리겠습니다.
농업경영체 등록 조건 및 절차 총정리
1. 농업경영체 등록이란?
농업경영체 등록제는 농업인의 경영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,
맞춤형 정책 지원을 위해 시행되는 제도입니다.
**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(농관원)**에서 등록 업무를 담당하며,
등록 대상은 농업인(개인)과 농업법인으로 나뉩니다.
2. 농업경영체 등록 조건
(1) 개인 농업인 등록 조건
다음 조건 중 하나 이상을 충족해야 합니다.
✅ 경지 면적 기준: 논·밭 1,000㎡(약 300평) 이상 경작
✅ 축산 기준: 일정 마릿수 이상의 가축을 사육
- 한육우 1마리 이상
- 젖소 1마리 이상
- 돼지 2마리 이상
- 가금류(닭, 오리 등) 100마리 이상
✅ 농업 생산물 판매액 기준: 연간 120만 원 이상 농산물 판매
✅ 농업 관련 사업 종사: 농산물 가공, 유통, 농촌체험, 관광농원 운영 등
👉 위 조건 중 하나라도 충족하면 농업경영체 등록이 가능합니다.
(2) 농업법인 등록 조건
농업법인은 법률에 따라 설립된 법인으로, 다음 요건을 갖추어야 합니다.
✅ 농업회사법인: 출자자의 80% 이상이 농업인 또는 농업법인
✅ 영농조합법인: 조합원의 80% 이상이 농업인
✅ 설립 목적: 농업 생산, 가공, 유통, 농촌 관광 등 농업 관련 사업 수행
👉 농업법인도 농업경영체로 등록해야 정부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.
3. 농업경영체 등록 절차
✅ 등록 방법
📍 온라인 등록: 정부24(www.gov.kr) 또는 농업경영체 등록시스템(agrix.go.kr)
📍 오프라인 등록: 가까운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(농관원) 방문
✅ 제출 서류
✔ 농업경영체 등록 신청서
✔ 신분증(개인) / 법인등기부등본(법인)
✔ 농지대장(경작 사실 확인용)
✔ 가축사육업 등록증(축산업 종사자)
✔ 농산물 판매 증빙 자료(매출 증빙용)
👉 관할 농관원에서 서류 검토 후 등록이 완료되며, 약 7~14일 정도 소요됩니다.
4. 농업경영체 등록 혜택
✅ 직불금 지원 (공익직불금, 친환경직불금 등)
✅ 농업 정책자금 지원 (농업용 저리 대출, 시설 지원금 등)
✅ 농기계·비료 지원 및 세금 감면
✅ 재해보험 및 각종 보조금 지원 가능
👉 농업경영체 등록을 하면 정부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기회가 확대됩니다.
5. 농업경영체 등록 후 유의사항
✅ 5년마다 갱신해야 하며, 변경 사항이 있으면 14일 이내 신고 필수
✅ 허위 등록 시 지원금 환수 및 불이익 발생 가능
✅ 지금 농업경영체 등록하고 정부 지원 혜택 받기!
농업경영체 등록은 농업인의 필수 절차입니다.
등록을 통해 다양한 지원을 받을 수 있으니 아직 등록하지 않았다면 서둘러 신청하세요!
📌 신청 바로가기: 농업경영체 등록 시스템